기초노령연금 수급자격 5분 체크리스트 (2025년 최신)
2025년 기초노령연금 선정기준액이 단독 228만원, 부부 364.8만원으로 상향됐습니다. 작년 탈락자도 올해는 받을 수 있는데요, 복잡한 설명 빼고 체크리스트로 바로 확인해보세요.
"어머니 소득인정액 계산이 너무 복잡해요!"
"신청하려는데 어디서 뭘 준비해야 할지 모르겠어요!"
매일 이런 질문이 쏟아지는데요,
5분이면 자격 확인부터 신청까지 가능합니다.
아래 체크리스트만 따라오세요!
✅ 기본 자격 3초 체크
• 만 65세 이상 (2025년 기준 1960년생부터)
• 대한민국 국적 보유 (주민등록상 국내 거주)
• 직역연금 비수급자 (공무원·군인·사학·별정우체국연금 제외)
생일 달 기준 신청 시기
• 생일 한 달 전부터 신청 가능
• 6월 생일이면 5월 1일부터 신청
• 늦게 신청하면 소급 불가 (한 달당 34만원 손해)
요약: 1960년생 이상이고 직역연금 안 받으면 1차 통과입니다. 생일 한 달 전 미리 신청하면 생일 달부터 수령 가능해요.
💰 2025년 소득·재산 기준표
| 구분 | 선정기준액 | 최대 지급액 |
| 단독가구 | 월 228만원 | 342,510원 |
| 부부가구 | 월 364.8만원 | 548,000원 |
소득인정액 간단 계산법
• 근로소득: (월급 - 112만원) × 70%
• 사업소득: 순소득 기준으로 계산
• 재산: 지역별 기본재산액 공제 후 환산
재산 기본공제액
• 서울·광역시: 1억 3500만원
• 중소도시: 8500만원
• 농어촌: 7250만원
실제 사례
월급 250만원 → (250-112) × 0.7 = 96.6만원만 소득 인정
서울 아파트 2억원 → (2억-1.35억) ÷ 월 환산 = 약 20만원
→ 합계 116만원으로 수급 가능!
요약: 일하고 있어도, 집 있어도 받을 수 있습니다. 실제 소득·재산보다 훨씬 낮게 계산되니까 복지로에서 모의계산 필수예요.
📋 신청 준비물 & 장소
필수 서류 (공통)
• 신분증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 본인 명의 통장 사본
• 금융정보 제공동의서 (배우자 포함, 현장 작성 가능)
추가 서류 (해당자만)
• 전월세 계약서
• 사업자등록증 + 소득금액증명원
• 장애인등록증 (있으면 가산점)
신청 장소 3곳
1. 주민센터 (주소지 관할, 상담원 도움 가능)
2. 국민연금공단 (전국 어디든, 거동 불편 시 방문 서비스 1355)
3. 복지로 온라인 (24시간, 자녀 대신 신청 가능)
⚠️ 꼭 체크하세요
• 수급희망 이력관리 신청 → 5년간 자동 재심사
• 매월 25일 지급 (신청 다음 달부터)
• 심사 기간 약 30일 소요
요약: 신분증과 통장만 들고 주민센터 가세요. 온라인은 복지로 접속 후 5분이면 끝납니다. 수급희망 이력관리 꼭 신청하세요.
❌ 이런 경우 신청 불가
• 공무원·군인·사학·별정우체국연금 수급자와 배우자
(단, 가입 10년 미만 퇴직일시금 수령자는 가능)
• 해외 60일 이상 장기 체류자
• 교도소·구치소 수감 중
• 소득인정액이 선정기준액 초과
국민연금 받으면 감액될까?
• 소득인정액 기준 이하면 둘 다 수령 가능
• 국민연금 51만원 초과 시 기초연금 일부 감액 (최대 50%)
• 저소득층(하위 40%)은 최소 30만원 보장
🙋 자주 묻는 질문 TOP3
Q. 작년에 떨어졌는데 올해 다시 신청 가능한가요?
A. 네! 올해는 기준액이 15만원 올라서 가능성 높습니다. 바로 재신청하세요.
Q. 자녀 집에 얹혀 살면 재산으로 잡히나요?
A. 아닙니다. 자녀 명의 재산은 부모님과 무관합니다.
Q. 신청 후 얼마나 걸리나요?
A. 심사 30일 후 다음 달 25일부터 입금됩니다.
지금 바로 확인하세요!
2025년 기준 완화로 작년 탈락자 중 상당수가 수급 가능해졌습니다. "나는 안 될 거야" 단정하지 말고 복지로에서 1분 모의계산 해보세요. 월 34만원이면 연 410만원, 5년이면 2천만원입니다. 몰라서 못 받으면 억울하잖아요?

